며느리에 대한 호칭어, 지칭어
시부모가 새로 맞은 며느리를 호칭하는 말은 경향(京鄕)을 막론하고 신혼 시절일 때 대개, ‘얘야, 아가, 새아가, 새아이야, 새아기야, 새애기야……’ 등이었고, 가족 기타를 향하여 사용하는 며느리의 지칭어는 ‘(우리)새아기, (우리)새아이, (우리)새애기, (우리)젊은이, (우리)새댁……’ 정도였다. 그러다가 며느리가 출산(出産)을 하면 그 때부터는 대개 ‘손자녀’의 이름과 연관하는 호칭으로 바꾸어 ‘○○어미, ○○에미, ○○어멈<주 : 서울의 경우>……’ 등으로 바꾸어 썼으므로 일상생활에서의 호칭, 지칭에 별 어려움이 없을 것 같아 보인다. 그러나 위 호칭 중 ‘얘야’는 사랑이 담긴 부름말이 아니고, 언짢은 일, 화나는 일 등과 연관하여 어조(語調), 어감(語感)에 따라서는 불쾌하게 받아들일 경우가 있기 때문에 조심해서 써야 할 말이다.
며느리의 호칭 및 지칭을 상황별로 나누어 기술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호 칭 어 | 아가, 새아가, 새아이야, 새아기야, 새애기야, ○○어미야, ○○에미야, 얘야 | |
지 칭 어 | 며느리에게 | 아기, 새아기, ○○어미, ○○에미, 너 |
부모에게 | 며늘아이, 며늘애, ○○어미, ○○댁, ○○처 | |
배우자에게 | 며늘아이, 며늘애, 새아기, ○○어미, ○○댁, ○○처 | |
아들에게 | ○○어미, 네 댁, 네 처 | |
손자, 손녀에게 | 어머니, 엄마, 어미 | |
큰아들에게 작은며느리를 | ○○어미, ○○댁, 제수, 계수 | |
작은아들에게 큰며느리를 | ○○어미, (네) 형수 | |
큰딸에게 작은며느리를 | ○○어미, ○○댁, 오라비댁, 아우(동생)댁, 올케 | |
작은딸에게 큰며느리를 | ○○어미, ○○댁, 오라비댁, 아우(동생)댁, 올케, 새언니 | |
다른 며느리에게 | ○○어미, 동서, (네) 형 | |
사위에게 | 처남의댁, ○○어미, ○○댁 | |
친척에게 | 며느리, 며늘아이, 며늘애, ○○댁, ○○어미, ○○처 [그들이 부르는 대로] | |
사돈에게 | 며늘아이, 며늘애, ○○어미, [그들이 부르는 대로] | |
타인에게 | 며느리, 새아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