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어(漢語)의 친등(親等) 표현에 쓰이는 ‘종(從)’의 의미


3획(畫) ‘척(彳-조금걸을척)자’ 부수(部首)인 ‘종(從-좇을종) 자’는  운서(韻書)들에서 질용절(疾容切), 장용절(將容切)), 칠공절(七恭切), 재용절(才用切), 조동절(祖動切) 등 여러 가지 음(音)을 가지는 글자이며, 중문대사전(中文大辭典)에는 그 뜻을 수십 가지로 풀이하고 있는 가운데에서 종형재(‘從兄弟) 등에 쓰이는 ‘종(從)’의 풀이는 대략 다음과 같았다.

우선 집운(集韻)의 경우 ‘종(從)은 동종(同宗=혈족)이라-從同宗也’라 한 바를 볼 수 있는데, ‘석명(釋名)’이란 책 가운데의 ‘석친속(釋親屬)’ 조(條)에는 “아버지의 세부모(世父母-백부모), 숙부모(叔父母)를 일컬어 종조조부모(從祖祖父母)라 하거니와, 이는 자신의 친조부(親祖父)와는 별도(別途)로 갈라져 내려온 것이되, 또한 자신의 조부에게서 비롯하는 바를 이름함이다-父之世叔父母曰從祖祖父母, 言從己親祖別而下也, 亦言隨從己祖以爲名也”라 하였으므로 자신과 직계(直系)인 어떤 친속(親屬)으로부터 비로소 방계(傍系)로 갈라져 나감을 뜻하는 글자로 풀이할 수 있다.

그리하여 우리 국어에서 ‘4촌, 6촌, 8촌’이라 하는 바를 한어(漢語)의 친족 호칭어(呼稱語 )내지 지칭어(指稱語)로는 ‘종(從), 재종(再從), 삼종(三從)’ 등으로 쓰였는데, 역대 중국의 고전에서 방계(傍系)의 뜻인 ‘종(從)’이 쓰인 친속 호칭(呼稱) 사례는 다음과 같다.


종자1(從子-姪=조카) 

종자2(從子-母之姊妹之子=이종사촌형제) 

종내형(從內兄-從祖姊之子=재종고모의 아들)

종부(從父-父之兄弟=백숙부) 

종부형(從父兄-同祖伯叔之子=4촌형) 

종부형제(從父兄弟-兄與弟之子=4촌형제) 

종부곤제(從父昆弟-伯叔父之子=앞과 같음, 4촌형제)

종부자매(從父姊妹-兄與弟之女子=4촌자매) 

종부곤제(從父晜弟-從父昆弟와 같음, 4촌형제)

종모(從母-母之姊妹=이모) 

종모형제(從母兄弟-母之姊妹之子=이종형제) 

종모곤제(從母昆弟=從母兄弟와 같음, 이종형제)

종모자매(從母姊妹-母之姊妹之女=이종자매, 

종모곤제(從母晜弟=從母昆弟와 같음, 이종형제)

종형(從兄-同祖伯叔之子而年長於己者=4촌형) 

종형자(從兄子-姪=조카, 이는 史記魏其武安侯傳의 경우임)

종형제(從兄弟-堂兄弟=4촌형제) 

종외손(從外孫-姊妹之孫=자매의 손자)

종고구(從考舅-母之從父兄弟=어머니의 종형제)

종제(從弟-同祖伯叔之子而年幼於己者=4촌아우) 

종표형제(從表兄弟-祖父姊妹之孫, 祖母兄弟姊妹之孫=대고모의 손자, 조모의 형제자매의 손자)

종표제(從表弟-앞 종표형제 참조)

종표질(從表姪-從表兄弟의 子=앞 종표형제 참조)

종숙(從叔-父之從父昆弟年少於父子=당숙) 

종매(從妹-同祖之姊妹=사촌자매) 

종고(從姑-父之從父姊妹=종고모 혹은 당고모)

종질(從姪)-從兄弟之子=당질) 

종조왕부(從祖王父-父之從父昆弟之父-종조부, 사촌대부)

종조왕모(從祖王母-父之從父昆弟之母=종조모) 

종조모(從祖母-父之從父昆弟之妻=당숙모) 

종조형제(從祖兄弟-同曾祖兄弟=재종형제) 

종조자(從祖姊-同曾祖之姊=재종누나) 

종조자매(從祖姊妹-同曾祖姊妹=재종자매) 

종조곤제(從祖昆弟-同曾祖之兄弟=재종형제) 

종조숙모(從祖叔母-祖父昆弟之妻=종조모) 

종조고(從祖姑-父之從父姊妹=종고모) 

종조조부(從祖祖父-伯祖父叔祖父=종조부) 

종조조모(從祖祖母=종조모) 

종증조곤제(從曾祖昆弟-同高祖之兄弟=3종형제,8촌형제) 

종생(從甥-姊妹之子=생질) 

종구(從舅-母之從父昆弟-어머니의 사촌형제)

종수(從嫂-從兄之妻=사촌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