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연정(龜淵亭)
![]() |
![]() |
![]() |
종 목 | 문화재자료 제415호 (경산시) |
명 칭 | 경산구연정(慶山龜淵亭) |
분 류 |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조경건축/ 누정 |
수량/면적 | 281㎡ |
지 정 일 | 2002.02.14 |
소 재 지 |
경북 경산시 진량읍 대구대로 201
(대구대학교 內) |
시 대 | 조선시대 |
소 유 자 | 청도김씨식송공파삼고문중 |
관 리 자 | 경산시 |
상세문의 | 경상북도 경산시 문화관광과 053-810-5367 |
조선 헌종 14년(1848)직재(直齋)김익동(金翊東)선생이 건립한 정자로서
현재 대구대학교 캠퍼스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금호강을 굽어보는 암벽 위에 북동향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주변 경관이 매우 좋다. 그리고 정자 뒤편 우측 암벽 위에 1972년 이건한 선생의 사당이 자리하고 있다. 금호강변 좁은 암벽 위에 터를 잡은 관계로 건립지의 크기에 맞도록 정면 2칸, 측면 2칸의 아담한 건물을 세웠다. 전·측면 모든 칸살을 7자로 잡아 정방형을 이루고 있다. 금호강을 내려다 볼 수 있는 전면 2칸은 주변 경관을 조망하기 편하도록 마루를 들였고 뒤편 2칸은 온돌방을 두었다. 그리고 온돌방 뒤편에 퇴를 두어 정자로 들기 편하도록 배려하였다. 현재 정자의 창호는 모두 없어져 창호의 형태와 개폐방법은 알 수 없으나 문틀에 남아있는 돌저귀의 흔적으로 개폐방법을 추정할 수 있다. 마루 전면은 하부에 높은 머름을 두고 4분합창문을 설치한 듯하며 좌측면은 마루로 오를 수 있는 쌍여닫이 판문을 두고 우측면에는 전면과 동일한 머름을 설치한 것으로 보아 쌍여닫이 창문이 설치된 듯하다. 그리고 온돌방과 마루와는 3분합문을 둔 듯 마루 서까래에 걸쇠의 흔적이 남아있으며, 온돌방 사이는 하부에 문지방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아 문으로 구획된 듯 하다. 또한 방 좌우의 창호는 높은 머름을 둔 것으로 보아 창문을 설치한 듯하며 문틀의 연귀수법은 온연귀수법으로 창호 설치의 세심함을 살필 수 있다. 건물의 입면은 누각형의 정자를 건립하기 위한 배려라 할 수 있는 장주형(長柱形)초석을 전면에 놓고 그 위에 귀틀을 얹은 후 원주를 세워 건물고를 다소 높혔다. 기둥의 형태는 전 ·후면 주열(柱列)은 원주(圓柱)를 사용하고 측면과 내진주(內陣柱)는 방형을 택했다. 주상의 형식은 전면은 살미가 짧은 이익공형식에 주간 사이는 소로를 삽입한 형식이다. 방 천장은 우물반자로 처리하고 마루 상부는 선자연(扇子椽)서까래와 외기반자로 마감하여 내부공간 이 아늑하다. 건물 상부 구조수법은 지붕을 합각으로 처리하기 위한 독특한 구조법을 사용하였다. 건물 가운데 세운 내진주 위에 대량(大樑)과 충량(衝樑)을 합보시킨 후 그 상부에 사압(四押)의 외기를 얹은 다음 추녀를 받도록 구조를 만들었다. 따라서 외기 위에 합각이 형성된 관계로 용마루의 길이가 짧아지고 처마의 만곡도가 매우 크다. 또한 건물 규모에 비해 추녀를 많이 내민 관계로 추녀가 둔탁하게 느껴졌던지 추녀 하부를 2단으로 치목하여 언 듯 보아 추녀 위에 사래가 얹혀진 듯 하다. 건립연대는 19세기 중반으로 후대에 건립 되었으나 주변경관에 적합토록 건물을 조성한 수법에 그 가치가 있다. 또한 건축수법에도 상부결구법 및 창호수법, 와곡의 처리 등 여러 곳에서 전통적 기법과 재치가 있는 결구법 등 여러 면에서 조선 후기의 정자건물로서 보존할 가치가 있는 자료로 평가된다. 자료출처 : 문화재청 |
![]() |
![]() |
![]() |
![]() |
대구대학 경산캠퍼스 후면, 진량면 내리리 금호강변 절벽 중턱에 위치하고 있는 정자. 청도김씨
金翊東(김익동)이 독서와 풍류릏 위해 1849년(헌종 15년)에 건립했으며,거북모양의 바위를 파서
기둥을 세우고 지은 4칸의 정사각형 건물로서 재호도 直方齋(직방재)를 쓰고 있다.
청마루의 반궁류형 천장은 정교한 조형미를 나타내고 있다. 김익동은 만각 김구옹의
아들로서 순조 때 성균관 진사시에 올랐다. 정자 앞은 망망한 금강(금호강)이 넘실거리고 뒤는 강류에 따라 깎아 세운 용전산 절벽이다. 지금은 하천에 토사가 퇴적되었지만 당시에는 정자 앞 용연은 명주실 한 꾸러미를 풀어 넣어야 겨우 밑바닥에 닿는다고 할 리만큼 깊은 푸른 소이었고, 정자가 서 있는 바위는 흡사 거북 모양을 이루고 있다. 사각 정자가 거북의 등에 타고 있는 형태이다. 굽이굽이 흐르는 강수, 강수의 흐름에 따라 세운 듯한 바위 병풍, 솔, 단풍, 느티나무 등 수목은 사시에 따라 정취를 달리한다. 이 자연의 정취가 한 점에 모인 곳에 세운 정자, 바위를 파서 기둥을 세운 구연정은 실적 네 칸의 정사각형 건물이다. 그래서 직방재라는 재호가 붙어 있다. 정자 후면 벼랑 쪽에 한 칸 방 두 개, 전면 강류 쪽 두 칸은 청마루로 이루어져서 들창문만 열어 올리면 금호강이 눈앞에 펼쳐진다. 정자는 치밀한 의장을 다하여 만들어진 흔적이 역력히 엿보인다. 청마루의 반궁륭형 천장에 있어 더욱 정교한 조형의 미를 이룩하고 있다. 산수의 미와 인공의 미를 일점에 묶어 놓았다. 당시 이 구연정을 찾아든 사방의 시인 묵객이 수천에 달하였다고 기문에 적혀 있고 청마루 벽상에는 귀연정에서 읊은 빈객의 시를 새긴 나무 액자가 가득 두르고 있음을 볼 때 구연정 주인 김익동 진사의 풍류와 넓은 교의를 엿볼 수 있다. 자료출처 : 경상북도청 관광진흥과 |
☞ 김익동(翊東) : 30世.
정묘 계축 1793년 12월 26일생
|
☞ 김덕흠(金悳欽) : 31世. [1824~1894]은 조선 후기 경산 출신의 학자. 하양(河陽) 출신의 학자로서 지역에서 학문 연구와 후진 양성에 힘썼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