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 흔하지는 않으나 고문헌(古文獻)들에서 역년(曆年) 간지(干支)를 표기할 때 일부러 멋스럽게 쓰고자 하는 등에서 모두에게 익숙한 '갑자(甲子), 을축(乙丑), 병인(丙寅), 정묘(丁卯)……' 등을 쓰지 아니하고, '알봉곤돈(閼逢困敦), 전몽적분약(旃蒙赤奮若), 유조섭제격(柔兆攝提格), 강어집서(强圉執徐)……' 등으로 쓴 것을 보기도 하는데, 그러한 예(例)를 일컬어 '고갑자(古甲子)'라 하는바, 그 '간지'는 다음과 같다. 고갑자(古甲子)란 ‘갑을병(甲乙丙)……’ 및 ‘자축인묘(子丑寅卯)……’ 등 간지(干支)가 만들어지기 이전인 옛적의 간지(干支)를 가리키는데, 이는 목성(木星)의 다른 이름인 ‘태세(太歲)’의 운행과 관련한 것이라 함. 곧 ‘태세’는 2년에 한 번 하늘을 일주(一周)하는데, 옛날에는 그 운행을 살펴 해(年)를 기록하였던 바, 그 ‘태세’가 ‘갑(甲)’의 방향에 있음을 ‘알봉(閼逢)이라 하고, 인(寅)의 방위에 있음을 '섭제격(攝提格)' 등으로 일컬었음. |
歲陽表/세양표 | ||||||||||
十干십간 | 甲갑 | 乙을 | 丙병 | 丁정 | 戊무 | 己기 | 庚경 | 申신 | 壬임 | 癸계 |
이아석천 爾雅釋天 |
알봉 | 전몽 | 유조 | 강어 | 저옹 | 도유 | 상장 | 중광 | 현익 | 소양 |
閼逢 | 旃蒙 | 柔兆 | 强圉 | 著雍 | 屠維 | 上章 | 重光 | 玄黓 | 昭陽 | |
사기역서 史記曆書 |
언봉 | 단몽 | 유조 | 강오 | 도유 | 축리 | 상횡 | 소양 | 횡애 | 상장 |
焉逢 | 端蒙 | 游兆 | 彊梧 | 徒維 | 祝犁 | 商橫 | 昭陽 | 橫艾 | 尙章 |
歲陰表/세음표 | ||||||||||||
十二支 십이지 |
子자 | 丑축 | 寅인 | 卯묘 | 辰진 | 巳사 | 午오 | 未미 | 申신 | 酉유 | 戌술 | 亥해 |
이아석천 | 곤돈 | 적분약 | 섭제격 | 단알 | 집서 | 대황락 | 돈장 | 협흡 | 군탄 | 작악 | 엄무 | 대연헌 |
爾雅釋天 | 困敦 | 赤奮若 | 攝提格 | 單閼 | 執徐 | 大荒落 | 敦牂 | 協洽 | 涒灘 | 作噩 | 閹茂 | 大淵獻 |
사기역서 | 위와 | 위와 | 위와 | 위와 | 위와 | 위와 | 위와 | 위와 | 위와 | 위와 | 엄무 | 위와 |
史記曆書 | 같음 | 같음 | 같음 | 같음 | 같음 | 같음 | 같음 | 같음 | 같음 | 같음 | 淹茂 | 같음 |